법무법인 대환의 해결사례를 확인하세요.
집행유예
직원 7명의 휴직동의서를 이용해 1억원의 고용유지지원금 부정수급 혐의를 받은 대표이사 집행유예 방어 성공사례
등록일 25-09-01
사건개요
본 사건의 의뢰인은 IT 소프트웨어 회사를 공동으로 운영하던 중, 코로나19로 인한 경영상 위기로 인해 급여 지급이 어려워졌고, 이에 직원들과의 협의없이 휴직 동의서를 제출하여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았고, 고용노동부의 조사와 함께 ‘부정수급’ 혐의로 형사처벌 대상이 되었습니다.
검찰은 의뢰인이 직원을 실제로 휴직시키지 않았음에도 허위로 휴직 동의를 받아, 총 1억 원 이상에 해당하는 고용유지지원금을 장기간(약 1년) 수령한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특히 ▲ 수급 대상이 7명에 달한다는 점, ▲ 피해액이 크고, ▲ 기망을 통해 제도를 악용한 정황이 명백하다는 점에서 재판부는 죄질이 무겁다고 판단하였고, 실형 선고 가능성이 높은 사안이었습니다.
본 사건의 특징
법무법인 대환은 의뢰인의 절박한 경영 상황과 당시의 경제적 현실을 감안해, 다음과 같은 변론 전략을 적극 펼쳤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긴급한 상황에서의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사정 강조
고용유지지원금 전액 및 관련 가산세를 납부한 점 부각
피해 복구가 완료되었고, 향후 재범 가능성이 없다는 점 입증
의뢰인이 초범이며, 현재도 성실히 기업을 운영 중이라는 점 소명
이러한 변론을 통해 재판부의 양형 판단에 있어 감경 사유가 다수 인정되었고, 징역형 선고가 유력했던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 집행유예와 벌금 500만 원이라는 비교적 경미한 형벌로 사건을 성공적으로 종결할 수 있었습니다.
혐의: 고용유지지원금 부정수급 (사기죄 등)
위험 요인: 1억 원 이상 부정수급, 대상자 7인, 1년 정도의 장기 수급
법무법인 대환의 조치: 피해 전액 변제, 양형자료 제출, 적극적 소명
결과: 징역형 회피 → 집행유예 및 벌금 500만 원으로 종결
고용유지지원금 또는 각종 정부지원금은 그 구조상 사실관계와 신고 내용 간의 작은 차이만으로도 형사처벌로 이어질 수 있는 민감한사안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부정수급 사례는 수사기관이 엄중히 다루는 영역입니다.
따라서 수사 초기 단계부터 법률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정확한 사실관계 정리 및 피해 복구 조치, 적극적인 반성과 선처를 위한 양형자료 제출 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법무법인 대환은 다수의 정부지원금 부정수급, 사기, 횡령, 배임 등 경제범죄 사건에서 형사처벌 최소화 및 기업 생존을 위한 방어 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습니다.
결과
집행유예
근거규정
해시태그
실제판결문